학과명 | 고분자공학과 |
계열 | 공학계열 |
학과소개 |
재료(소재)를 유기재료/무기재료로 대별할 때 고분자 재료는 전자에 속하며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섬유, 고무, 접착제, 페인트 등의 형태로 응용되어 왔습니다. 고분자공학과에서는 고분자 재료의 합성(화학), 재료의 물성(물리), 그리고 제품으로의 가공방법은 물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물성이 보다 우수한 고분자 재료를 실용화시키는데 필요한 제반 지식을 배웁니다. 한편 산업사회가 고도화 되어감에 따라 고분자 재료는 기존의 석유화학산업은 물론 전기/전자, 생물학, 의학은 물론 환경 분야에 이르기까지 핵심적인 물질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IT),생명공학기술(BT), 나노 테크놀로지(NT) 등의 어휘가 미래 산업의 핵심 요소로서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이 재료(소재) 특히 고분자 재료의 개발과 기술적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다수가 인식해나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고분자공학과는 이러한 첨단 재료과학 분야를 다루는 학과이다. 본 학과에서는 급속히 발전하는 현대 과학기술에 발맞춰 다양한 교과과정을 통하여 고분자에 대한 이해와 이에 필요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합니다. 고분자공학과는 유기 신소재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화학, 물리, 재료 및 고분자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첨단 유기 나노 신소재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
세부전공 및 학문내용 |
(응용고분자공학과,고분자공학과,고분자공학전공,고분자시스템공학전공,고분자신소재공학전공,고분자·섬유재료공학,고분자·섬유신소재전공,고분자신소재공학,고분자.나노공학과) 고분자공학과에서는 우리 생활 주변에 관련되지 않은 것이 거의 없을 정도인 고분자 물질에 대해 실험과 실습을 중심으로 공부하게 됩니다. 공부하는 주요 교과목 - [고분자물성] 고분자 물질의 기본구조를 이해하며, 기본 구조가 고분자의 물리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배웁니다. - [고분자열역학] 열역학 Ⅰ,Ⅱ법칙을 기본으로 유체의 P. V. T. 관계를 열역학적 함수들의 관계, 상평형, 반응평형 특히, 고분자 용액의 열역학적 특성들을 배웁니다. - [고분자 가공] 고분자 가공의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 및 가공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 분자구조, 물성들을 이해시키고 압출, 사출 및 중공성형 등 각종 가공법에 관한 기본 개념을 배웁니다. - [고분자화학] 고분자화학의 원리, 각종 중합 반응의 반응속도 및 반응기구, 열역학적 국면, 고분자의 합성법, 구조 및 성질 등에 대해 배웁니다. - [고분자재료] 고분자재료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알아보고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고분자재료의 종류, 제조방법, 가공기술 등에 대해 배웁니다. |
진로 | 고분자공학과에 관련된 학과를 2004년 2월에 졸업하고, 1년 6개월 후인 2005년 8월 졸업생들의 취업조사에서 취업을 한 직장으로는 민간회사·개인사업체, 정부투자기관·정부출연기관·공사합동기업, 정부기관, 교육기관, 민간 기업연구소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이들 직장에서 화학공학기술자(엔지니어),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원, 마케팅 관련 사무원, 그외 기타 공학 관련 종사자, 기술영업원과 같은 직업인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유치학교 | |
경북대학교 | http://www.knu.ac.kr |
경상대학교 | http://www.gnu.ac.kr |
경희대학교 | http://www.khu.ac.kr |
금오공과대학교 | http://www.kumoh.ac.kr |
단국대학교 | http://www.dankook.ac.kr |
부경대학교 | http://www.pknu.ac.kr |
부산대학교 | http://www.pusan.ac.kr |
성균관대학교 | http://www.skku.ac.kr |
순천대학교 | http://www.sunchon.ac.kr |
인하대학교 | http://www.inha.ac.kr |
전남대학교 | http://www.jnu.ac.kr |
전북대학교 | http://www.chonbuk.ac.kr |
충남대학교 | http://www.cnu.ac.kr |